반응형 전체 글74 아동 결핵의 증상과 예방법 결핵(tuberculosis)은 기원전 7천 년경 석기시대의 화석에서 그 흔적이 발견된 이래 인류역사상 가장 많은 생명을 앗아간 감염 질환으로, 1882년 독일의 세균학자 로버트 코흐가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을 발견하여 학회에 발표함으로써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잠복기는 9~12주이며, 주로 비말을 통해 폐로 흡입되어 감염을 일으키며, 혈액을 통하여 전신감염을 일으킬 수도 있고, 드물게는 점막과 상처가 있는 피부를 통한 접촉으로 직접 감염이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결핵 환자는 과거에 비해 감소하였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결핵으로 고통을 받고 있습니다. 최근 보도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구 10만 명당 환자 발생 수 평균 87명, 인구 10만 명당 .. 2023. 12. 26.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과 관리방법 알레르기성 질환은 전 인구의 약 35%에서 발생할 만큼 흔한 질환으로 최근에 이르러 더욱 증가 추세입니다. 특히 아동기에 알레르기 질환이 증가하는 이유는 서구화된 주거환경, 모유 수유율 감소, 대기 오염 증가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 AD)은 보통 영아기에 시작되는 대표적인 알레르기성 질환으로 일명 '태열' 혹은 '영아 습진(infantile eczema)'이라 불리며, 심한 가려움증(소양증)을 동반하는 습진성 피부 병변이 특징적입니다. 최근 들어 발생률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증상이 심하고, 완치시킬 수 있는 치료법이 아직 개발되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사회적인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질환입니다. 1. 원인 및 빈도 아토피성 피부염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2023. 12. 25. 소아 류마티스 관절염의 증상과 관리방법 소아 류마티스 관절염(juenile rheumatoid arthritis, JRA)은 소아 만성 관절염(juvenile chronic arthritis, JCA) 혹은 소아 특발성 관절염(juvenile idiopathic arthritis, JIA)이라고도 하는데, 관절이나 결체조직을 침범하는 만성 염증성 질병으로, 보통 16세 이전에 발병합니다. 1. 원인 원인은 확실하지 않으나 최근에는 유전적, 환경적, 면역 요인 등이 상호관련되어 있다고 합니다. 즉, 개인의 유전적 요인과 면역 감수성과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외부 자극이 겹쳐져서 유전적으로 표적이 되는 신체 세포에서 염증과정이 시작된다는 것입니다. 호발연령은 1~3세와 8~10세이며, 여아가 남아보다 2배 정도 많습니다. 2. 증상 소아 류마티스 관.. 2023. 12. 25. 소아 가와사키병의 진단기준과 관리방법 가와사키 질환(dawasaki disease, mucocutaneous lymth node syndrome:MCLS)은 원인 불명의 급성 전신성 혈관염으로, 1967년 일본에서 처음 보고된 후로 높은 발생 빈도를 보이며 전 세계적인 분포를 보이고 있는 급성 열성 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최근 들어 아동기에 후천성 심장 질환을 일으는 가장 흔한 원인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치료하지 않으면 합병증인 관상 동맥류가 20% 정도에서 발생하는데, 영아가 심장에 합병증이 생길 위험이 가장 높고, 심근 경색증 또는 급사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1. 원인 가와사키 질환의 발병 원인은 정확히 규명되어 있지 않지만 많은 연구에서 다양한 가설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가와사키 질환의 원인에 대해 가장 타당성을 보이는 .. 2023. 12. 25.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