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74

아기 천식, 증상과 관리방법 천식(asthma)은 기도의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알레르기원에 의한 기도 과민반응의 결과로 기관지 폐쇄 증상이 동반되는 과민성 면역 장애 질환입니다. 천식은 어느 연령에서나 발병할 수 있지만, 약 80% 이상이 6세 이전에 처음 발병하며, 약 30%는 1세 이전에 발병합니다. 1. 원인 및 빈도 천식의 원인은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이 상호 관련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1) 유전적 요인 천식을 유발하는 인자로 확인된 것은 15번, 11번, 5번 염색체이며, 부모가 모두 천식인 경우 자녀에게 천식이 생길 확률은 약 70%, 한쪽 부모만 천식인 경우는 자녀에게 천식이나 알레르기 질환이 발생할 확률이 약 30%입니다. 또한 영아기에 습진을 앓은 경우 천식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2023. 12. 21.
아기 편도염의 증상과 관리방법 편도선은 인두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설근의 점막에 위치한 혀편도, 인두의 상벽에 위치한 인두편도(아데노이드), 구강 안쪽 인두와의 경계에 위치한 구개편도 등 3쌍의 림프조직으로, 그 기능에 대한 학설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대체로 세균 감염에 대한 방어기관으로 보고 있습니다. 편도선은 성장하면서 다른 면역기관의 기능이 강화되면서 사춘기 이후부터 활동이 감소하고 크기도 서서히 작아집니다. 1. 원인 급성 편도선염(acute tonsillitis)은 주로 구개편도에 발생하는 급성 염증을 말하며, 대부분 인두염과 함께 발생합니다. 주로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을 통해 발생하는데, 가장 흔한 원인균은 β 용혈성 연쇄상 구균(전체 질환의 20%를 차지)이며, 이 외에 포도상 구균, 폐렴 구균 등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 2023. 12. 20.
아기 폐렴의 증상과 관리방법 폐렴(pneumonia)은 폐 실직조직의 급성 염증으로 주로 감염에 의해 일어나지만, 비감염성 원인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어린 아동의 호흡기는 매우 취약하여 호흡기 감염이 많이 발생하고, 폐렴으로 급속히 진행되기도 합니다. 1. 원인 폐렴은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하지만, 호흡기계의 취약성으로 인해 유아나 어린 아동에서 더욱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나이에 따라 원인이 다르나, 바이러스에 의한 경우가 가장 많고, 세균, 이물질 흡인에 의해서도 발생합니다. 아동의 경우 기도의 길이가 성인에 비해 짧아 이물질이나 박테리아가 기도 내에 쉽게 침입할 수 있고, 기도의 발달이 진행중이기 때문에 이물질이나 박테리아가 기도 내에 침입하면, 이를 충분히 방어할 수 있는 능력이 미숙하여 호흡기 감염이 흔히 발생합니다.. 2023. 12. 20.
겨울철 아기 감기, 관리방법 비인두염(nasogharyngitis)은 비강 뒤, 연구개와 두개골의 경계에 위치하는 비인두 조직의 염증으로 증상이 나타난 것을 의미합니다. 일명 감기(common cold), 급성 비염(acute rhinitis), 코감기(coryza)로도 불립니다. 비인두 조직에 염증이 생기면 부종과 삼출물을 형성하여 목이 붓고 아프며, 비강은 부종으로 충혈(nasal congestion)되며, 분비물로 인해 코가 막히게 됩니다. 감기는 다양한 합병증을 초래하는데, 영아에서는 중이염과 폐렴과 같은 하부기도 감염이 가장 많이 발생하고, 유아에서는 부비동염(축농증)이 흔히 동반됩니다. 1. 원인 및 빈도 감기의 약 90%는 바이러스가 원인균입니다. 바이스성 감기의 원인균은 코감기 바이러스(thinovirus)가 가장 흔.. 2023. 12. 19.
반응형